SD WAN Summary 128T Concept Vector It is Secure Vector Routing(SVR) which is from 128T. Instead of cost, 128T incorporates an innovative technique known as vectors. Vectors are a per-service policy attribute that assigns costs to segments to allow shared infrastructure to be used uniquely based on the type of traffic traversing it. The most common use case for configuring vectors is a system wit..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8Z3ud/btq0zZOMZ3l/p1UULApusPitLM7Dp3vLwK/img.png)
Comparison of VPN protocols What is the fastest VPN protocol? 참고 The Fastest VPN Services for 2021 (NEW Test Results) restoreprivacy.com/vpn/fastest/ Comparison of VPN protocols www.ivpn.net/pptp-vs-ipsec-ikev2-vs-openvpn-vs-wireguard/ 광고 수익은 기부 활동에 사용됩니다 정보를 얻으신 분들은 광고 클릭 부탁드려요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WCMx/btqPeojZRU1/zQkrYL2qjHLG5D0yIlsIo0/img.png)
VPN - 공중 네트워크를 통해 한 회사나 몇몇 단체가 내용을 바깥 사람에게 드러내지 않고 통신할 목적으로 쓰이는 사설 통신망. 가상 사설망에서 메시지는 인터넷과 같은 공공망 위에서 표준 프로토콜을 써서 전달되거나, 가상 사설망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이 서비스 수준 계약을 맺은 후 서비스 제공자의 사설망을 통해 전달. (출처 : en.wikipedia.org/wiki/Virtual_private_network) 종류 IPsec SSL VPN L2TP WireGuard VPN 성능 비교 - Wireguard + Linux Networking Stack Stress Test : openbenchmarking.org/test/system/wireguard(2020.4) - Wireguard vs OpenVPN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xGLA/btqEE5hrydg/6yhXO2kecnlkct4s6zfaN1/img.gif)
SDN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SDN은 네트워크의 제어 플레인을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달하는 데이터 플레인과 분리한다는 개념이다. 이런 분리의 목적은 중앙에서 관리하고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이다. 일부 SDN 구현 솔루션은 범용 네트워크 하드웨어를 통제하는 소프트웨어 기반 관리 플랫폼을 사용한다. 또 다른 접근법은 통합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SDN은 주로 대기업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하는데, 전통적인 네트워킹 아키텍처와 비교해 비즈니스의 요구에 좀 더 쉽게 대응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는 환경이다. 한편 SDN은 하위 영역도 다수 있는데, 소프트웨어 정의 WAN이나 보안을 목적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극히 작은 영역으로 나누는 데 SDN을 사용하는 것 등이 대..
MPLS과 SD-WAN 무엇을 사용해야 할까요? MPLS과 SD-WAN 모두 기존의 네트워크 문제점을 해결하고 좋은 기술임에는 틀림없습니다. 하지만 두 기술 장단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목적에 맞지 않는 도입은 높은 비용과 관리의 부담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습니다.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mission critical 한 응용 프로그램을 안정적이고 빠르게 사용해야 한다면 MPLS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하지만, 실시간성 응용 프로그램 사용이 적고, 퍼블릭 클라우드에 이미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면 SD-WAN을 사용하는 것이 안정적인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두 기술 모두 충분히 검증되었으며, 상용화되어 있기 때문에 MPLS와 SD-WAN의 특징을 명확히 숙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XQFvt/btqExB9bB3p/Ptb09te3aQ87RmqcX7xdC1/img.jpg)
SDN과 NFV의 Killer Application으로 SD-WAN (Software Defind Wide Area Network)이 최근 큰 관심을 끌고 있다. SD-WAN은 그저 주목받는 미래 기술이 아니라 이미 상용망에 도입되기 시작하고 있다. 해외의 경우 (특히, 미국) 2015년부터 기업들이 기존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WAN 서비스 (MPLS, TDM)에서 SD-WAN 자체 구축으로 Migration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응하여 2016년 하반기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통신사업자들의 SD-WAN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SD-WAN은 기업의 각 거점(본사, 지사,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등)에 SD-WAN CPE를 넣고, 품질과 요금이 다른 여러 망 (MPLS, 인터넷, 3G/4G)..
- Total
- Today
- Yesterday
- PYTHON
- NW
- k8s
- gcp serverless
- S3
- 도서
- EKS
- terraform
- OS
- cni
- 혼공단
- controltower
- operator
- NFT
- IaC
- 혼공챌린지
- AI
- SDWAN
- 국제 개발 협력
- GCP
- GKE
- handson
- security
- 파이썬
- cloud
- VPN
- k8s calico
- k8s cni
- AWS
- 혼공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