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ctor DB]Elastic Search
안녕하세요. Elastic Search에서 진행한 Generative AI search 워크샵을 참관 후 이해한 내용을 간략히 정리했습니다. LLM의 문제점- 대규모 데이터 이관 시 할루시네이션 발생- Search에서 할루시네이션이 발생되지 않고, LLM에서 발생됨vector search 1. dense vector search : 최근접/이웃 활용 2. sparse vector search : elastic search의 key-value - 이전에 view했던 페이지 이력 확인해서 검색에 활용vector 많이 쓰면 메모리 많이 사용, 많은 데이터가 RAM에 있고 데이터 search를 위해서는 CPU에 부하 발생됨 -> 8개 또는 4개로 양자화하는 기술 도입됨-> Better Binary Quant..
IT/Data
2025. 9. 21. 11:5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AI
- k8s cni
- VPN
- 혼공챌린지
- AWS
- IaC
- NFT
- cni
- k8s
- k8s calico
- 혼공단
- 도서
- cloud
- S3
- GKE
- 혼공파
- GCP
- EKS
- SDWAN
- controltower
- handson
- NW
- PYTHON
- autoscaling
- 파이썬
- terraform
- security
- OS
- operator
- gcp serverles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