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 'NFT가 Infra 시장에 가져올 변화', 2편 'NFT Storage Service'에 이어 NFT Storage Service의 작동 방식 및 적용 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NFT Storage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1. 콘텐트 주소 지정(Content Addressing) : 사용자가 NFT.Storage에 데이터를 업로드하면 CID 라고 하는 콘텐트의 IPFS 해시를 받는다 . CID는 데이터의 고유한 지문이며 저장 방법과 위치에 관계없이 콘텐트를 참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주소이다. CID는 콘텐트 자체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CID를 사용하여 NFT 데이터를 참조하면 취약한 링크 및 "러그 풀(rug pull)" 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 2. 증명 가능 스토리..
1편 'NFT가 Infra 시장에 가져올 변화'에 이어 NFT 시대를 위한 Infra 서비스를 알아보자. 기존 NFT Storage 서비스는 어떤 것이 있나 - NFT Storage는 사용자가 NFT 콘텐트와 메타데이터를 원활하고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 데이터는 IPFS, Filecoin 상에 분산화된 형태로 저장되고 Smart Contract에서 사용되는 콘텐트 주소 기반 IPFS URI를 사용하여 참조된다. 하지만 현재 NFT Storage Service에 대해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문제점 '원본과 사본을 구별하지만 원본 복제나 해킹, 소실을 막진 못한다. 물리적 원본이 존재하는 그림이나 조각상과 달리 디지털 자산 자체는 얼마든지 무단 복제 문제가 ..
요즘 NFT가 대세긴 대세다. 올 상반기에는 몇 년 만에 다시 블록체인 가치가 크게 오르면서 토큰 시장이 뜨거웠는데 하반기부터 NFT가 주목받고 있다. 물론 관련 분야 종사자들에게는 이미 오래전부터 이슈였다. 처음 NFT를 접한 것은 IT 지식이 많은 한 지인을 통해서 였다. 오랜만에 만난 지인은 본인이 재미 삼아 참여하고 있는 NFT 프로젝트인 OPEN SEA, NBA TOPSHOT 등 몇 가지를 소개해줬는데 처음 들었을 때 내 반응은 한마디로 이거였다. '왜 그런데 돈을 써요. 그게 무슨 가치가 있어요?!?!?!?!' 나의 이런 반응에 지인은 '이 세상은 머리로 이해하려고 하면 안 돼요' 딱 이렇게 대답해줬다. '머리로 이해할 수 없는 세상이라...? 뭐지 내가 모르는 동안 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
SD WAN Summary 128T Concept Vector It is Secure Vector Routing(SVR) which is from 128T. Instead of cost, 128T incorporates an innovative technique known as vectors. Vectors are a per-service policy attribute that assigns costs to segments to allow shared infrastructure to be used uniquely based on the type of traffic traversing it. The most common use case for configuring vectors is a system wit..
오랜만에 Python을 다시 봤다. 몇년 전에 혼자/스터디 등으로 공부했던거 같은데, 다른 일로 잘 안 접하게되니 잠시 멀어졌던거같다.(반성 중) "다시 봐야지.."하던 찰나에 우연찮게본 한빛미디어 '혼공챌린지'를 통해 Python 공부를 다시 시작했다. 비록 문법과 예제들을 한번 훑어보는정도였지만 예전 기억이 다시 새록새록나면서 앞으로 더 꾸준히 해야겠단 생각도 들었다. 마침 클라우드 플젝을 하다보니 스크립트, 자동화쪽에도 적용할일이 많을 것 같아서 앞으로는 보다 더 꾸준히~ 할 수 있길 (몇년전에 데이터분석이며 AI 공부한다고 열심히 하다가...꾸준히 안했던게 좀 후회되기도ㅜ) 추가적으로 같은 시리즈인 JavaScript도 살펴보고있다. NodeJS 쪽을 익혀야할 것 같아 이 부분도 꾸준히 같이 해나..
Task 1: Create a Git Repository Task 2: Create a Simple Python Application You need some source code to manage. So, you will create a simple Python Flask web application. The application will be only slightly better than "hello world," but it will be good enough to test the pipeline you will build. from flask import Flask, render_template, request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main()..
- Total
- Today
- Yesterday
- NW
- 국제 개발 협력
- 도서
- NFT
- k8s
- terraform
- S3
- cni
- handson
- GKE
- GCP
- k8s cni
- PYTHON
- operator
- 혼공챌린지
- 파이썬
- security
- gcp serverless
- controltower
- AI
- AWS
- SDWAN
- EKS
- cloud
- 혼공단
- 혼공파
- k8s calico
- VPN
- IaC
- O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