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 tier architecture in GCP
지난 IAP 설정 편에 이어 DB 구성을 해보자
GCP에서 DB 연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다.
그 중 Cloud Proxy를 적용한 VM-DB 인스턴스 연결을 소개한다.
1. DB 생성

MySQL 을 설정해줬다



Private Subnet 내 Cloud Proxy 연결을 위해 비공개 IP로 설정해준다(이때 Networking Service API 승인이 필요하다)
2. DB replica 생성
- HA 구성을 위해 같은 영역 다른 zone 내에 replica를 만든다

2.VM에서 DB 접속 방법
- 앞서 만든 Web 인스턴스의 SSH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Cloud SQL 인증 프록시를 다운로드후 실행파일을 만든다.

$ wget https://dl.google.com/cloudsql/cloud_sql_proxy.linux.amd64 -O cloud_sql_proxy
$ chmod +x cloud_sql_proxy

$ ./cloud_sql_proxy -instances=[DB 연결 이름]=tcp:3066
$ mysql -h [Cloud SQL 외부 IP] -u root -p

다음 LB 관련 설정 편에서 LB 대해서 알아보자
blog migration project
written in 2022.3.19
https://hayleyshim.github.io/blog/gcp5
'IT > Infra&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실습편 - 권한 관련(2 tier architecture in GCP) (1) | 2023.10.28 |
|---|---|
| 실습편 - LB 적용하기(2 tier architecture in GCP) (1) | 2023.10.28 |
| 실습편 - IAP를 활용한 Secure 연결(2 tier architecture in GCP) (0) | 2023.10.28 |
| 실습편 - Autoscaling을 고려한 인스턴스 생성(2 tier architecture in GCP) (0) | 2023.10.28 |
| 실습편 - 전체 구성 및 네트워크 설정(2 tier architecture in GCP) (0) | 2023.10.28 |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혼공파
- VPN
- cni
- cloud
- handson
- IaC
- operator
- 혼공단
- S3
- NW
- AWS
- OS
- 혼공챌린지
- gcp serverless
- GCP
- k8s calico
- security
- CICD
- AI
- autoscaling
- EKS
- NFT
- 도서
- SDWAN
- 파이썬
- k8s
- GKE
- terraform
- k8s cni
- PYTHON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글 보관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