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난 IoT 적용기 1편에 이어 본격적으로 IoT 적용기 2편이다.
지난 7월에 상담한 인테리어 업체와 미팅을 통해 IoT를 적용해본적은 없지만 IoT 전기배선 작업은 할 수 있다는 대표님의 얘기를 믿고 도전적인 열정/의욕이 넘치는 인테리어 업체와 전기/통신의 역할 분배 후 계약을 진행하고 이후 몇번의 미팅을 진행했다.
심미적인 인테리어 자체에 큰 요구사항이 없는편이라 내구성을 갖춘 효율적이고 깔끔한 인테리어에 중점을 두고 가장 중요한 요구사항인 IoT를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해 전기와 통신 영역을 중점으로 나름 분야별로 지식이 필요한 심도 깊은 상담을 진행했다. IoT 적용 자체가 모두 처음이었기에 큰 변화보다는 작은 변화로 편의성을 주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중점 사항: 예산, 편의성, 그리고 내구성
IoT 적용이 처음인 만큼, 무리한 확장보다는 작은 변화로 큰 편의성을 얻는 것에 집중했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에서 고려한 3가지 중점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중점 사항 | 세부 내용 |
| 예산 | 이미 인테리어에 큰 지출이 있었기에 IoT 예산 최소화 |
| 편의성 | 전체 공간보다는 실제 사용했을 때 효과가 극대화되는 공간에만 적용하기로 결정 |
| 내구성 | A/S 등으로 골칫거리가 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인지도와 레퍼런스가 높은 브랜드를 선택 |
적용 장소 선정
- ✅ 적용 장소: 거실 및 안방 (공용부 위주)
- ❌ 제외 장소: 주방, 화장실, 작은방 (동선이 크지 않고 효과성 대비 예산을 고려하여 스위치 적용 제외)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이 공용 공간에만 아카라(Aqara)제품을 적용하기로 했다.
- 거실: IoT 3구 스위치 2개, IoT 1구 스위치 1개, 전동 커튼 모터 1개
- 안방: IoT 3구 스위치 1개, 전동 커튼 모터 1개
- 제어: IoT 허브 1개, IoT 큐브 1개
아카라 제품 선정: H1 스위치와 구매 경로 확보
IoT 제품은 전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높고 레퍼런스가 풍부한 아카라 라이프(Aqara Life)로 결정했다.
특히 거실의 다수 조명을 깔끔하게 제어하기 위해 미니멀하고 세련된 디자인의 아카라 조명 스위치 H1이 최적이라고 판단했다. 문제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H1 스위치가 B2B(사업자 전용) 구매만 가능해 보였다는 점이다. 나의 경우 B2C 구매가 필요했고, 추후 구글 네스트 허브와의 연동 등을 고려하여 한국 서버를 사용하는 제품을 취급하는 업체를 찾아야 했다.
이 문제를 해결해준 곳은 이지엉클 IoT였다. 아카라 라이프와 파트너십을 맺고 제품 판매뿐 아니라 다양한 노하우를 공유해 주시는 곳이라, 추후 연동 문제 등 기술적인 부분까지 믿고 구매를 진행할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었다. 대략적인 견적을 받고 제품 구매 전 최종 체크만 남겨두었다.

스마트 스위치 환경 구축의 핵심: 중성선과 스위치 박스
제품을 구매하기에 앞서, 인테리어 대표님과 함께 IoT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했다. 여기서 핵심 개념 두 가지를 다시 한번 짚어보았다.
1. 중성선 (Neutral Line)의 확보
| 구분 | 일반 스위치 | IoT 스마트 스위치 |
| 전원 필요성 | 전등이 켜질 때만 전기가 흐름 | 지속적인 상시 전원 필요 |
| 중성선 역할 | 불필요하거나 연결되지 않은 경우가 많음 | 내부 전자 부품 구동을 위한 회로 완성 및 안정적인 전원 공급 |
스마트 스위치는 Wi-Fi 모듈, 칩 등이 24시간 대기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전등이 꺼져 있을 때도 전력을 공급받는 중성선이 필수이다. 다행히 전기 시공 담당자분께서 중성선 작업이 문제없다고 확인해 주셔서 IoT 스위치를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2. 스위치 박스 (Switch Box) 공사
IoT 스위치는 일반 스위치보다 내부 전자 부품 때문에 훨씬 두껍고 부피가 크다. 또한 중성선까지 연결해야 하므로 배선도 더 많다.
- 스위치 박스 필요 이유:
- 안전 (Safety): 감전 및 화재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
- 배선 공간 확보: 부피가 큰 IoT 스위치와 복잡해진 배선을 안전하게 수용.
- 설치 표준 준수: 전기 규정에 따른 법적 의무 사항.
일반 스위치 규격과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목공 작업이 필요했다. 다행히 거실 쪽은 목공 공사가 예정되어 있어 큰 문제 없이 스위치 박스 공간을 확보했다. 안방 역시 수량이 많지 않아 스위치 박스 공사를 함께 진행해 주시기로 하여, 안정적인 IoT 환경 구축의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주의사항] 스마트 스위치 보호: 돌입전류(Inrush Current)와 센서 보호기
안정적인 IoT 시스템을 위해, IoT 스위치와 조명의 호환성 문제를 미리 확인하고 대비했다.
- H1 스위치의 한계: 아카라 H1 Pro 스위치의 스위치당 최대 허용 부하(Capacity)는 400W이다.
- T5 LED의 위험: 일반적으로 간접등에 많이 설치되는 T5 LED는 스위치가 켜지는 순간 일시적으로 큰 전류(돌입전류, Inrush Current)가 발생한다.
- 릴레이 손상 방지: 이 돌입전류가 스위치 내부의 릴레이를 손상(녹임)시키거나 IoT 스위치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 해결 방안: 센서 보호기 설치
유지 관리 측면과 조도를 고려하여 T5 LED를 사용하기로 했으므로, IoT 스위치와 T5 LED 회로 사이에 '센서 보호기'를 중간에 연결하여 돌입전류를 흡수하고 릴레이가 녹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LED 스트립 + SMPS 조합도 대안이 될 수 있지만 T5 LED를 선택)
이러한 사전 대비를 통해 계획했던 보다 안정적인 IoT 환경 구축이 가능할 것 같다.
'ICT Project > SmartHo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ide Project] IoT 적용기 #1 - IoT 환경 계획/미팅 및 역할 분배 (3) | 2025.07.31 |
|---|
- Total
- Today
- Yesterday
- 혼공단
- AWS
- terraform
- 혼공파
- cni
- 도서
- PYTHON
- k8s calico
- 혼공챌린지
- OS
- handson
- VPN
- AI
- GKE
- k8s
- NW
- security
- NFT
- gcp serverless
- SDWAN
- EKS
- 파이썬
- k8s cni
- operator
- autoscaling
- S3
- CICD
- cloud
- GCP
- IaC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