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 동안 송길영 작가님의 '시대예보 – 경량문명의 탄생'을 읽으며 마음에 남은 구절이 있다. “이제 새로운 문명에서 개인은 ‘풀 스택’보다 ‘퀵 스택’의 태도를 갖는 일이 필요하다. 빠른 시간 안에 문제 해결을 위해 꼭 필요한 능력을 습득하고 성장형 인간이 되어야 한다. 올해 인프라 아키텍트에서 나아가 사내 FSA(Full Stack Architect) 교육을 수료하고 3사 CSP AI 자격증을 통해 AI 동향 파악과 서비스를 학습했다. 하지만 앞으로 풀 스택 아키텍트로 완성형 성장을 추구해야 할지 아니면 AI 인프라와 데이터 파이프라인 역량을 빠르게 보완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책을 읽으며 내린 답은 명확했다. 둘 중 하나가 아니라 풀 스택 기반 위에 ‘퀵 스택’ 태도로 확장하는 것. 완벽을..
안녕하세요, devops를 이해하기 위해 학습한 내용에 대한 정리글입니다.그전에 Gemini에게 Agent AI가 나오면서 앞으로 devops 전망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 결론부터 말하면, DevOps 엔지니어의 역할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AI 조련사', '자동화 시스템 설계자' 와 같이 더 높은 수준의 전략가로 변화할 것입니다. DevOps의 각 단계가 AI 에이전트를 통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기획 및 설계 (Plan & Design) * 현재: 사람이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아키텍처를 설계합니다. * AI 에이전트 도입 후: AI가 요구사항 문서를 분석해 최적의 기술 스택, 아키텍처 패턴, 예상 리소스 등을 추천합니다. 잠재적인 병목 현상이나 보안 취약점을 ..
안녕하세요, 최근 Azure의 Application gateway와 Private Endpoint를 활용해 Open AI 서비스를 연동한 내용을 간단히 설명합니다. [요구사항]외부 SaaS 서비스에서 도메인을 통해 Azure의 Open AI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사용 [테스트 구성] 1. Network 구성- Network Subscription과 서비스(DEV/STG/PRD)용 Subscription을 분리하여 Peering으로 연결 구성- Open AI의 특정 모델의 경우 East US 2 리전에 출시되어 East US 리전에 vNet을 구성하여 Global Peering으로 구성- Network Subscription과 서비스(DEV/STG/PRD)용 Subscription 간에는 Private ..
안녕하세요. Elastic Search에서 진행한 Generative AI search 워크샵을 참관 후 이해한 내용을 간략히 정리했습니다. LLM의 문제점- 대규모 데이터 이관 시 할루시네이션 발생- Search에서 할루시네이션이 발생되지 않고, LLM에서 발생됨vector search 1. dense vector search : 최근접/이웃 활용 2. sparse vector search : elastic search의 key-value - 이전에 view했던 페이지 이력 확인해서 검색에 활용vector 많이 쓰면 메모리 많이 사용, 많은 데이터가 RAM에 있고 데이터 search를 위해서는 CPU에 부하 발생됨 -> 8개 또는 4개로 양자화하는 기술 도입됨-> Better Binary Quant..
안녕하세요, AWS 기반 CICD 환경 구축 스터디 내용을 기록했습니다. AWS는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빌드, 테스트, 배포할 수 있도록 다양한 DevOps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 중에서도 CodePipeline, CodeBuild, CodeDeploy는 CI/CD(지속적 통합/지속적 배포)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서비스들입니다. CICD 란?• CI + CD• Continuous Integration + Continuous Delivery• 지속적 통합 + 지속적 배포• 지속적 통합: 개발자가 코드를 변경할 때마다 자동으로 코드를 통합, 빌드, 테스트하는 과정• 지속적 배포: 통합 & 테스트가 완료된 코드를 자동으로 배포환경에 배포하는 과정 1. AWS CodePipe..
하반기 집안에 IoT 환경을 만들어볼 기회가 생긴만큼 내돈내산 IoT Side Project를 진행하며 이해한 내용들을 기록해볼 예정이다. Smart Home으로 다시금 생각난 대학생 시절 CES의 추억(당시 유일한 밝은 자켓으로 같은 조원이 엄지척을 보내줬었다ㅎㅎ) 우리조의 CES 참관 발표 주제가 무려 Smart Home Network!!! 정말...추억이다ㅜ Prompt 나는 스마트홈을 만들려고해. 아카라 IoT 스위치, 구글 네스트 허브, LG 가전 들로 어떻게하면 2선 스위치, 3선 스위치로 안정적인 스마트홈을 만들 수 있을지 레퍼런스랑 적용할 수 있는 IoT 제품군들 추천해줘. 예산은 100-200만원 정도로 생각하고 있어 ✅ 기본 정보예산: 100–200만 원사용 장비: Aqara I..
- Total
- Today
- Yesterday
- k8s cni
- 혼공단
- handson
- gcp serverless
- SDWAN
- GKE
- GCP
- AI
- VPN
- 파이썬
- cni
- security
- autoscaling
- 도서
- S3
- 혼공파
- PYTHON
- OS
- CICD
- NFT
- NW
- cloud
- k8s calico
- 혼공챌린지
- terraform
- EKS
- k8s
- IaC
- operator
- AWS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