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HTTP3 기반 프로토콜인 QUIC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HTTP3 아직 표준안이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기반 기술인 QUIC의 표준인 RFC9000은 2021년에 확정된 상태입니다. 전체 웹사이트 중에 25.2% 정도가 HTTP/3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구글, 유투브 등이 있습니다. QUIC 2013년에 공개된 UDP기반의 전송 프로토콜 참고 : QUIC RFC 9000 보안 강화 tcp의 패킷 리커버리, 혼잡제어 구현됨 TCP / QUIC 차이점 quic 모든 패킷 암호화 (tls 1.3 사용) quic = tcp + tls 결합 주요 벤더사 QUIC 지원 AWS : Amazon CloudFront, 이제 QUIC 기반 HTTP/3 지원 Google Cloud : HTT..

최근 네트워크망을 통해 트래픽이 어떻게 모니터링이 되는지 궁금하여 관련 기술을 찾아보며 관련 프로토콜 및 솔루션을 간단히 소개합니다. sflow/netflow Figure 1: What is sFlow Figure 2: What is NetFlow [참고] SFlow vs SNMP vs NetFlow: What Are the Differences? SFlow vs SNMP vs NetFlow: Which Do You Prefer? SNMP : 표준 네트워크 모니터링 프로토콜 SFlow/NetFlow : 높은 트래픽 네트워크 트래픽 수집, 모니터링 및 분석을 위한 프로토콜 SFlow : 다중 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더 좋음 NetFlow : 향상된 정확성과 확장성을 요구하는 IP 기반 트래픽에 좋음 [참고]..

안녕하세요. AWS 권한 관리 서비스인 AWS Lake Formation과 Amazon Redshift 테이블에 로드하지 않고도 Amazon S3의 파일에서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쿼리하고 가져올 수 있는 Amazon Redshift Spectrum기술에 대해 간략히 정리했습니다 AWS Lake Formation을 통해 중앙에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및 열 수준 액세스 정책을 정의하고 AWS S3에 저장된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Lake Formation에서 사용할 수 있는 AWS Glue Data Catalog에 데이터를 등록한 후 Redshift Spectrum을 포함한 여러 서비스로 쿼리할 수 있습니다. Lake formation 동작 프로세스 및 기능 Step 1. Data l..

안녕하세요. AWS의 Apache Airflow 용 관리형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인 Amazon Managed Workflows for Apache Airflow(MWAA)와 GCP의 Cloud Composer에 대해 이해하고자 작성한 글입니다. 일반적으로 Airflow는 빅데이터 플랫폼 환경에서 Airflow 내 다양한 Operator 기능을 통해 워크플로우(workflow)를 오케스트레이션 해주는 툴로 일반적인 빅데이터 플랫폼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고 데이터의 수집, 저장 및 데이터 변환 작업을 일반적으로 순차작업(Airflow DAG)으로 구성하여 배치 작업(Airflow 스케줄)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Airflow 동작을 이해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에 관련된 용어를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참고] ..

안녕하세요. DevOps Engineering 개념에 대해서 간략히 정리했습니다. DevOps 모델 정의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도록 조직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문화, 철학, 방식, 도구의 조합 소프트 개발 사이클의 속도를 높여 제품을 더 빠르게 혁신하고 개선할 수 있으며 조직은 고객을 더 잘 지원하고 시장에서 효과적으로 경쟁할 수 있다. DevOps Pipeline DevOps 운영 이슈 Amazon은 소프트웨어를 소규모 독립 서비스로 리팩토링하고 조직을 소규모 자율팀으로 재구성했다. 각 팀은 단일 서비스의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완전한 소유권을 가지고 고객과 직접 협력하여 개선했다. 이러한 명확한 초점과 제어로 팀은 새로운 기능을 빠르게 생성할 수 있었지만 배포 프로세스는 곧 병..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관계자들(클라이언트, 기획자, 엔지니어, 개발자, 경영진 등) 간 커뮤니케이션의 시작이 되는 요구사항정의서(Requirements Specifica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고객을 이해하는 첫 단계라 생각합니다. 요구사항 : 프로젝트의 고객을 이해하는 첫 단계 고객의 요구사항을 얼마나 잘 파악하여 수행하는지에 따라 프로젝트 전반적인 품질(Quality)과 기간(Period), 비용(Cost)이 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요구사항정의서는 프로젝트를 기획한 기획자, 수행하는 엔지니어, 경영자 모두에게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가늠해볼 수 있는 척도(barometer)가 될 수 있습니다. 업무를 하며 솔루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고객사에 제공하기 위해 웹페..
- Total
- Today
- Yesterday
- cloud
- cni
- gcp serverless
- NFT
- autoscaling
- GKE
- operator
- 혼공파
- 혼공챌린지
- terraform
- AWS
- k8s calico
- AI
- 혼공단
- 도서
- GCP
- PYTHON
- k8s cni
- NW
- EKS
- S3
- handson
- OS
- 파이썬
- IaC
- controltower
- security
- SDWAN
- VPN
- k8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