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저출산 고령화 사회를 위한 한국의 대비책
1. 인구정책은 정부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즉, 의료 서비스, 해외 공적원조 사업 등 민간이 주도 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2. 크기를 다시 키우려고 노력하기보다 다운사이징을 준비하자. 비단 규모의 축소만이 아닌 규모에 맞춘 새로운 체질을 발굴하고 개선하자.
3. 우리나라의 미래가 어둡기만 할 것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자. 인구변동은 이미 정해져 있는 미래이므로 여기에 조화되는 정책과 제도 인식이 뒤따른다면 결코 어둡지만은 않다. 향후 25년간 한 해 출생아 수가 40만 명대로 유지될 수 있다면 인구는 사회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조영태 '정해진 미래' 중에서
'Book >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시대예보: 경량문명의 탄생 (0) | 2025.10.11 | 
|---|---|
| 상상하지말라 (0) | 2016.08.28 |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혼공챌린지
- k8s cni
- CICD
- terraform
- 도서
- 혼공파
- SDWAN
- handson
- 파이썬
- NW
- cloud
- NFT
- AI
- 혼공단
- k8s calico
- cni
- k8s
- OS
- GKE
- S3
- gcp serverless
- operator
- autoscaling
- VPN
- AWS
- PYTHON
- IaC
- GCP
- security
- EKS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글 보관함